TIL: 스스로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정리하였기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. 틀린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연산자
코딩에는 다양한 연산자들이 있다. 그리고 연산자마다 우선순위도 정해져 있다.
단항 연산자: 항이 하나만 있는 연산자
쉬프트 연산자: 비트 값 관련
비교 연산자: 대수 비교/참 거짓
삼항 연산자: ?와 : 의 기준으로 해서 항이 3개가 존재하는 연산자
논리 부정 연산자 (!) : (단항 연산자)
!논리값 => 논리값
논리값 (true/false)을 반대로 바꿔주는 연산자 NOT 역할
산술 연산자 : + - /(나누기의 몫:같은 자료형으로 나옴 ex. 10/3=3) %(나누기의 나머지)
**증감 연산자 : 증가도 하고 감소도 하는 연산자 (증: 증가하다 감: 감소하다)
증감 연산자는 크게 증가시키는 연산자와 감소시키는 연산자로,
자세하게 들여다보면 전위 증가, 후위 증가, 전위 감소, 그리고 후위 감소로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.
++ : 값을 1 증가시키는 연산자
-- : 값을 1 감소시키는 연산자
(증감 연산자) 값: 선 증감 후 처리
값(증감 연산자): 선 처리 후 증감
전위와 후위 부분을 이해하는 데에 꽤나 오랜 시간이 걸렸으나, 예시 코드를 쳐보면서 정확하게 알 수 있었다.
전위 연산 예시)
int a = 10 ;
int b = ++a ;
System.out.println("a : " + a + " b : " + b);
=> console: 작동시켜보면 a: 11 b: 11 임을 알 수 있다.
그 이유는 b는 이미 a에서 1을 증가한 수이며, a는 두 번째 줄에서 전위 증가를 해주었기에 11로 업데이트되었다고 보면 된다.
후위 연산 예시)
int a = 10 ;
int b = a++ ;
System.out.println("a : " + a + " b : " + b);
=> console: a: 11 b: 10이다.
이유는 b 뒤에 붙은 후위 연산이 b에는 적용시키지 않기 때문이다.
전위와 후위연산 예시)
예시)
예시)
앞에 보여준 ++, -- 의 증감 연산자들은 1씩 증가, 감소하여 대량 증감은 해줄 수 없다.
이때 사용하는 연산자가 복합 대입 연산자이다.
복합 대입 연산자: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함께 사용하는 연산자, 연산처리속도가 빨라진다.
+= -= *= /= %= 등이 존재한다.
예시)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제어문1_조건문(if); 단독 if문과 if-else문, 그리고 if-else if문 (0) | 2020.12.23 |
---|---|
[Java] 연산자; 비교연산자,논리연산자 그리고 삼항연산자 알기 (0) | 2020.12.21 |
[Java] System.out.printf("활용하기"); println/print/printf 차이점과 활용 (0) | 2020.12.21 |
[Java] 형변환? 자동형변환과 그의 순서, 그리고 강제형변환 (0) | 2020.12.19 |
[Java] 상수? 정의와 선언방법 (0) | 2020.12.18 |
댓글